전체 글
-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중국어 뜨는 현상System Programming 2024. 8. 5. 23:29
라즈베리파이에서 이미지 때문에 중국어가 나오는 상황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한국어로 하면 깨지고 위치와 언어를 영어로 바꾼다. 위의 메뉴에서 아래와 같은 아이콘을 클릭한 후, 라즈베리파이 모양의 위에서 다섯번째 메뉴 "Raspberry Pi Configuration"을 선택하여 언어 설정을 변경한다. 중국어는 알아보기 어렵지만, 영어 및 한글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설정을 변경한다. https://jow1025.tistory.com/273 라즈베리파이 한글 설정저번시간에 운영체제 부팅까지 완료하였고 이번시간에는 라즈비안에 한글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한글을 설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데 구글에서 검색해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jow1025.tistory.com
-
카카오톡 서비스 운영정책 위반으로 카카오톡 사용이 제한되었습니다 / 다른 나라에서 로그인 시도카테고리 없음 2024. 8. 5. 23:19
어느 날 카카오톡 로그인 시도 알림이 와서 깜짝 놀랐다.아르헨티나? 에서 로그인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것해외 로그인을 막아둬서 다행이지, 그러면 내 비밀번호도 안다는 소리인가? 뭐지 어쨌든 알림이 와서 경각심을 느끼고 카카오계정을 잠궜다. 이후 비밀번호를 바꿨다. 놀랐던 점은 이후 "서비스 운영정책 위반으로 카카오톡 사용이 제한되었습니다"라고 뜬다는 건데, 이건 내가 카카오계정을 잠궜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잠군 이후에 PC 등으로 확인했을 때는 이미 계정이 해킹 당한 것이 아니므로 당황하지 않고 새로운 비밀번호로 로그인 하면 된다.* 만일 계정 잠금을 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문구가 뜬다면 진짜 카카오톡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카카오톡에는 모든 중요한 계정이 다 연결되어 있고 연락처가 다 연동되어 있기..
-
[시스템 프로그래밍] 어셈블리 연산 기초 (load, store, mov, add, jne)System Programming 2024. 6. 13. 04:01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CPU의 연산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load A, B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load한다. 메모리 B에 있던 데이터를 레지스터 A로 로드한다. store A, B레지스터 B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 A에 저장한다. mov A, BA의 데이터를 B에 복사한다.A의 값을, B에 넣는다 ex)move $100, %edx 100 값을 edx에 넣는다. movl %ebp, %edx edx의 값을 ebp에 저장한다. add A, B값 A를 값 레지스터 B에 더한다. jne A, B레지스터 A의 값이 zero가 아니라면, B로 점프한다. 서술한 연산 방향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신호처리] 오디오의 sr (sampling rate)는 왜 44.1kH를 사용하는 걸까?Signal Processing 2024. 6. 8. 20:59
신호를 컴퓨터 등의 기기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리가 sampling이다. 연속적인 신호를 이산적으로 취하여 연산량을 아끼고, 이산적 연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산적으로 연속적인 정보를 취하여 sampling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원본 신호를 완전히 복구할 수 있다. 이를 Nyquist rate라 하며, bandlimiting의 2배이다. 예시로,Audio가 44.1kH로 sampling을 하는 이유는, Nyquist rate에 의해 원본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범위가 bandlimiting frequency의 2배를 넘도록 oversampling 해야하기 때문이다. 오디오 신호의 W = 20 kHz이기에, 이것의 두배가 넘도록 샘플링 하는 것이다. Nyquist r..
-
[ChatGPT] 챗지피티로 음성인식 하는 파이썬 코드 작성 / 강의 요약, 회의록 작성 등 응용인공지능 2024. 6. 8. 19:02
본 게시글에서는 openAI 사용을 위한 가상환경 세팅 등의 내용은 생략한다. 이에 대한 것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chocohaim1121.tistory.com/144 파이썬(주피터)으로 챗지피티 파인튜닝 하기 / 콘다 가상환경 세팅, Chat GPT fine-tuning for python with j파이썬으로 챗지피티 3.5를 파인튜닝 해보자. 내가 알기로는 현재(2024.01.24 기준) chat gpt 4는 파인튜닝이 안되고, chat gpt 3.5는 가능하다. 가상환경 설치 & OpenAI 설치 conda 환경에서 진행했다. $ conda crchocohaim1121.tistory.com Jupyter 및 Conda 환경을 이용했다. 1. Anaconda Prompt..
-
C 언어 실행 파일만 남았을 때 디스어셈블(Disassemble)-디컴파일링(Decompile) 방법과 사이트 __ 바이너리 파일 C 파일로 binary file to CSystem Programming 2024. 6. 3. 22:36
실수로 실행 파일만 남기고 원본 코드를 소실한 경우, 디스어셈블-디컴파일링을 시도해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전에 앞서,디스어셈블은 간단하지만, 디컴파일링은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완벽하게 되돌릴 수 없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Disassemble아래는 code라는 실행파일을 output.txt에 출력하는 커맨드이다. objdump -d ./code -M intel > output.txt > output.txt 구문을 없애서 커맨드 창에 바로 출력할 수도 있다.이후 이 파일을 디컴파일링 해야 우리가 아는 c언어로 돌아올 수 있다. Decompile이후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디컴파일링을 해야 한다.아까 출력받은 어셈블리 코드를 Chat GPT나 다른 디컴파일러에 넣어 디컴파일을 시도해볼 수 있다. 거..
-
[Linux] Window에서 리눅스 작업 환경 / 작업 폴더 들어가기 (Ubuntu on Windows)System Programming 2024. 6. 1. 15:42
Window에 깔려있는 리눅스에 접속해보자. 처음에 윈도우 라이브러리 왼쪽에 있는 Linux 폴더에 그냥 들어가서, 오른쪽 마우스로 Shell을 열어 명령어를 실행시키니 (오른쪽 마우스 > 터미널에서 열기) 파일을 만들지 못했다. 접근 권한 문제였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다가, (이렇게 들어가는 것이 아님을 깨닫고) 깔려있는 프로그램 중 "Ubuntu"를 검색했다. 이 프로그램을 누르고 조금 기다리니, Welcome이라는 문구가 떴다. 이후 같은 명령어인mkdir를 쳐보니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실제로 해당 프로그램을 들어가서 바로 보이는 작업 공간은 윈도우 상에서 라이브러리로 확인할 수 있으며Linux > Ubuntu > home > 유저이름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