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rtualenv] Window에서 virtualenv 이용하여 가상환경 만들고 tensorflow 설치하기 / activate 위치, 찾을 수 없을 때인공지능/텐서플로 2022. 2. 10. 14:55반응형
git bash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하였다. 본 게시글에서 git bash 설치 방법 등은 생략하겠다.
~/tensorflow 디렉터리에 virtualenv 환경을 만든다.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가상환경이 global의 패키지를 상속받으면서 형성된다.
$ virtualenv --system-site-packages ~/tensorflow
위와 같은 문구가 뜨면 성공이다. ~ 폴더 내 tensorflow 폴더가 형성된다.
글로벌의 패키지를 상속받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system-site-packages 문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된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에 실제로 들어가보면, Window기준으로 ~./tensorflow/Script/에 activate가 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하고, (tensorflow)가 뜨면 성공이다.
성공적으로 virtualenv를 활성화하였으면, 괄호 안에 작업하고 있는 virtualenv의 이름이 뜬다. 이후 pip를 통해 텐서플로를 설치한다. 설치가 끝난 이후 pip list를 하였을 때 아래와 같이 tensorflow가 설치되었음이 확인된다면 성공이다.
이후 bash에서 엔터를 쳐보면 아직 가상환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설치 이후에 가상환경에서부터 나오기 위해서는
아래 코드를 작성해준다.
$ deactivate
이후 엔터를 입력하였을 때 괄호가 생기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빠져나온 것이다.
참고문헌
조르디 토레스. (2017). 텐서플로 첫걸음. 서울: 한빛미디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