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utter] 플러터 시작 - 플러터란 무엇인가, 플러터 설치하기앱 개발/플러터(Flutter) 2023. 3. 20. 14:37반응형
플러터(Flutter)란?
- Flutter은 구글에서 개발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이다.
- 한 번의 코딩으로 IOS 및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 네이티브(JAVA, Kotlin 등)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눈에 띄는 큰 차이는 없다.
- 배우기 쉽고 IOS, 안드로이드가 동시에 호환되므로, 빠른 시장 검증이 필요한 스타트업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경험상)
- But, 비교적 레퍼런스가 적고, 복잡한 앱을 만들수록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극도로 적어진다.
- 프론트와 백앤드 구분을 잘 지어야하는 등 누가 코드를 짜느냐에 따라 리소스 분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 네이티브에서 아주 구현이 쉬운 기능들도 돌고 돌아 구현해야하는 등 불편함이 따르는 기능이 몇가지 있다.
※
1)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은 여러 종류의 환경에서 동작 가능할 수 있다는 뜻이다.
2) 프레임 워크(frame work)는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이며 뼈대이다.
다트(Dart)란?
- flutter의 구성 언어이다.
- 구글이 다양한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앱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연습용으로는 인터넷 창이 유용하고 깔끔하다. https://dartpad.dev/?null_safety=true
Android Studio
- 앱 개발에 최적화 되어 있어, 앱 개발 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 많은 파일들을 한꺼번에 관리하고 코딩하기 쉽다.
- But, 컴퓨터가 부담스러워하는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플러터 설치하기
플러터 설치하기 : https://flutter.dev/docs/get-started/install/windows
1. 다운받은 Flutter 파일을 C드라이브에 이동, 압축해제 한다. (꼭 C드라이브일 필요는 없지만 편의상)
2. flutter / bin / 아무 파일 에 들어가서 오른쪽 마우스, 속성을 누른 후 위치(절대경로)를 복사한다 (bin까지의 주소가 떠야한다)
3. ‘시작’에서 ‘환경'을 검색한다. 이후 뜨는 ‘시스템환경변수 편집’을 선택한다
4. 환경변수 > path를 더블 클릭해서 환경변수를 새로 만들어준다.
5. 복사했던 절대경로를 붙여넣기 한다. 확인 후 모두 빠져나온다.
6. cmd를 검색해서 flutter을 쳐본다.
반응형'앱 개발 > 플러터(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